보건소 관계자들이 차량으로 방역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KBS 캡처)
보건소 관계자들이 차량으로 방역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KBS 캡처)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 사태 최전방에 서 있는 노동자들의 근무 환경이 전해졌다.

김명희 노동건강연대 집행위원은 17일 공개된 CBS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인터뷰에서 대규모 감염병 사태에 맞서 움직이는 노동자들의 이야기를 전했다. 그는 “병원 의사, 간호사, 간병요양 말고도 방사선 기사분, 검사실 근무자, 청소 아니면 이송업무, 청원 경찰, 전산요원들이 감염되는 사례도 있다”며 “접촉자나 환자들을 집에 모셔다드리며 현장에서 일하는 분들은 보건소 직원, 역학조사관들이다. 항공이나 배에서 검역하시는 분들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메르스 사태 때 확진자가 186명이었는데 보건의료 종사자가 차량운전자까지 포함해 40명이었다. 의사가 8명, 간호사가 15명, 간병인 8명이었다”며 “당시 실제 제보받은 것 중 병원에서 ‘환자들에게 괜한 공포감을 주니 마스크 쓰지 말라’고 한 사례도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잘 모르던 상태였고 교육이 안 됐다. 저희가 만난 분 중에는 유행이 잠잠해졌을 때야 본격적으로 교육을 받았다고 하는 분도 있었다”며 “그러다 보니까 병원 노동자들의 감염이 계속 있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은 노동자들을 보호하는 시스템의 부재를 지적하며 “실제 보건의료 환경에서 감염 예방이나 관리의 1순위는 개인 보호가 아닌 행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2순위가 환기, 소독, 청소 같은 환경공학적 관리이며 3순위가 개인 보호다. 순서대로 작동해야 하는데 메르스 사태 때에는 이런 체계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이번 코로나19 관련 지침에 대해서는 “노동부가 만든 지침에는 ‘보건의료 쪽은 더 열심히 해라, 그다음 청원경찰부터 시작해 여러 관련자 다 챙기라’는 이야기는 있지만 병원 안에서 어떻게 안전 보건을 할 것인가는 없다”며 “노동자 관점에서 안전보건 관련 지침들을 특별히 주지 않았다. 유급휴직은 어떻게 해야 하고 마스크는 직장에서 어떻게 해야 되는지, 환자가 생긴 병원은 어떻게 해야 하고 일반 사업장에서는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가 핵심”이라고 지적했다.

또 메르스 사태 당시 감염된 의료인의 산업재해가 인정되지 않은 것을 언급하며 “당시 노동자가 아닌 헌신하는 전문가 이미지가 강했다. 간호사가 탈진해 쓰러지는데 잔 다르크라고 표현했다. 안전하게 일하고 보호받아야 할 노동자였는데 이런 식으로 표현하면 노동자 스스로 산재 신청 생각을 못 할 것”이라고 짚었다.

코로나19 사태에 가장 희생적으로 일하고 있는 사람들이 일선의 보건관련 노동자들이다. 이들이 순수한 애국심과 희생정신만으로는 버티기 힘들다. 국가의 전문적이고 정밀한 관리체계가 시급하다. 
 

저작권자 © 피처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